아하 가이드라인에 내가 실습할때 들은것들을 같이 적어봤음!
임상선배님들의 의견은 언제든지 대환영! 제가 잘못알고 있다면 꼭 댓글로 알려주세요!
1. introduction
백신은 Core (필수) 백신과 Non-Core (선택적) 백신으로 구분됨.
- Core 백신 (모든 개에게 권장)
- 광견병 (Rabies)
- 개 디스템퍼 바이러스 (CDV)
- 개 아데노바이러스 타입 2 (CAV-2)
- 개 파보바이러스 (CPV-2)
- 렙토스피라증 (Leptospirosis) → 2024년부터 Core 백신으로 변경됨
- Non-Core 백신 (특정 환경, 생활 방식에 따라 권장)
- 보르데텔라 브론키셉티카 (Bordetella bronchiseptica)
- 개 인플루엔자 (Canine Influenza, CIV)
- 라임병 (Lyme disease, Borrelia burgdorferi)
- 서부 다이아몬드백 방울뱀 독소 백신 (Rattlesnake toxoid)
우리나라
DHPPi (distemper, hepatitis=Aedno, parvo, parainfluenza)
Corona
Bordetella bronchiseptica
Canine influenza
Rabibes
종합 코로나 BB 인플루엔자
1
2 1
3 2 1
4 2 1
5 2
항체가 검사 실시 (CDV,CPV,CAV는 16주령 초기 접종 완료휴 4주후에 항체가 엄사 실시)
DHPPi (약독화 생독 백신)
6주령 이상, 모체이행항체 충분한 경우엔 12주령 이상 (우리나라는 잘 안된다고 함)
간격 : 16주 이하 2~4주 간격, 16주령 까지, 16주 이상은 1~2번
bordetella는 intra nasal?, sq도 된다고 함
인플루엔자는 근육으로 하는데 통증을 호소 할 수있음
백신 효과와 실패 원인
- 백신 효과는 실험적 환경과 실제 임상 환경에서 다를 수 있음.
- 백신 실패의 원인:
- 개체가 충분한 면역 반응을 형성하지 못함.
- 백신 접종 이전에 감염됨.
- 모체로부터 받은 항체가 백신 효과를 방해함.
- 백신 보관 및 취급 부주의.
- 백신의 면역 지속기간 (DOI)이 경과됨.
백신 보관 및 취급
- 적절한 냉장 보관 필수 (2~8°C 유지, 동결 금지).
- 백신 보관 온도 모니터링 필요.
- 접종 직전에 준비해야 하며, 희석한 백신은 즉시 사용해야 함
2. 카테고리별 요점 정리
(1) 백신의 기본 개념
- 개의 예방접종은 질병 예방뿐만 아니라 공중보건 보호에도 중요한 역할을 함.
- 백신은 면역 기억을 자극하여 질병을 예방함.
- 개별 개체의 생활 방식과 위험도를 평가하여 백신을 선택해야 함.
(2) Core 백신
- 모든 개에게 권장됨 (기본적인 면역을 위한 필수 접종)
- 디스템퍼, 아데노바이러스, 파보바이러스, 렙토스피라증, 광견병 포함.
- 1년 후 첫 번째 부스터를 한 뒤 3년마다 추가 접종 권장.
(3) Non-Core 백신
- 생활 환경, 지역적 요인, 개의 활동 범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종.
- 보르데텔라, 개 인플루엔자, 라임병, 방울뱀 독소 백신 등이 포함됨.
(4) 백신 접종 일정
- 강아지: 6
8주령부터 접종 시작, 1620주까지 반복 접종. - 성견: 기본 접종 이후 3년마다 추가 접종 (광견병 제외).
(5) 백신 접종 후 주의사항
- 백신 접종 후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함.
- 경미한 증상 (미열, 식욕 감소)은 일반적이지만, 심각한 반응 (아나필락시스)은 즉시 치료 필요.
3. 인턴이 알아둬야 할 점
- 백신 보관 및 취급
- 올바른 온도에서 백신 보관 (2~8°C).
- 사용 직전에 백신 준비, 희석 후 즉시 사용.
- 백신 접종 기술
- 근육주사 vs. 피하주사 구분 (대부분의 백신은 피하주사)=> 인플루엔자만 근육으로 놓고 나머지는 보통 피하로 놓는다고 배움!
- 생백신 (MLV)은 즉시 사용, 비활성화 백신은 적절한 보관 필수.
- 접종 일정 및 환자별 맞춤 계획
- 강아지와 성견의 접종 일정 차이 이해.
- 보호소 및 고위험 환경에서는 빠른 면역 형성이 중요.
- 부작용 관리
- 경미한 반응: 미열, 식욕 감소 등.
- 심각한 반응: 아나필락시스 발생 시 즉시 치료 필요.
- 고객 교육 및 상담
- 반려인에게 백신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오해를 풀어주는 것이 중요함.
- 백신 거부 또는 망설이는 고객을 설득할 수 있도록 준비.
음... 내가 보호자라면 할 수 있는 질문들엔 뭐가 있을지 한번 생각해봐야할것 같다.
내가 보호자라면... 음..
(1) 왜 같은 예방주사를 여러번 맞나요?
(2) 왜 2달이 지난후 쯤에 주사를 맞아요? 쫌 빨리 맞으면 안되나요?
(3) 항체가 검사는 왜 해야하나요?
(4) 주사를 꼭 간격을 지켜서 맞아야하나요?
나의 부족한 지식과 짱구를 굴려서 대답해보자면
(1) 모유에 있는 항체가 백신을 불활성화 해서
(2) 8주가 지나야 모유에 있는 항체가 강아지 몸에서 점점 사라져서 백신이 효과를 보일수 있게?
(3) 백신을 맞고 나서도 모유에 있는 항체에 의해서라던지 강아지의 면역문제로 백신에 의해 항체가 제대로 생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니까!!
(4) 음 이거는 잘 모르겠지만 첫쨰로는 모유항체 간섭, 기억세포 형성을 강화?, 백신별 지속기간(DOI)가 다 달라서
최근에 렙토스피라가 유행이라고 들었는데, DHPPL을 접종해야할까?
아무래도 야외생활 활발하게 하는 강아지들(산이나 들판이나 좀 와일드한 산책을 즐기는?)은 접종을 권장해야할까? 잘 모르겠다!
(1) 디스템퍼
고열, 구토, 설사
신경계 증상->평생 남을수도
Hard pad
(2) 아데노type2
마른기침 켄넬코프
구토, 구역질
(3) 파라인플루엔자
켄넬코프, 구역질, 콧물,
기관지염에서 폐렴까지
bordetella와 함꼐 되면 증상 심해짐
(4) 파보
위장관 - 혈변, 쇼크
'인턴 >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aaha 고양이 백신 가이드라인 (2) | 2025.03.01 |
---|---|
혈액검사 튜브 (2) | 2025.03.01 |
3way stop (0) | 2025.03.01 |
infusion pump (6) | 2025.03.01 |
약물, 수액 계산 (1) | 2025.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