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보충

소화호르몬

반응형

호르몬에 의한 조절
: 위장관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확실히 인정되는 것은 세크레틴(secretin), 가스트린(gastrin), 콜레시스토키닌(choecystokinin), GIP(gastric inhibitory peptide) 및 motilin이다.
이들 호르몬을 분비하는 세포들은 각기 한 종류의 호르몬만을 분비하고 위장관점막의 상피세포사이에 산재되어 있으며 발생학적으로 신경외배엽에서 유래한 APUD(amine precursor uptake and decarboxylation) 세포에 속한다.
또한 이러한 세포들은 위장관 내강과 접해 있어 장관내용물에서 정보를 얻어 호르몬을 통해 표적기관에 전달한다.


㉮ 세크레틴
- 구조 : 세크레틴은 2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폴리펩타이드
- 분비장소 : 십이지장 상피세포들 속에 끼여있는 내분비세포에서 분비(s세포)
- 자극원 : 십이지장내의 산으로 pH가 4.5이하가 되어야 분비된다.
- 표적기관 : 췌장으로 췌장을 자극하여 NaHCO3를 분비시킨다. 췌장선 세포의 소화효소 분비에 작용하는 콜레시스토키닌의 효과를 강화
췌장의 성장을 자극, 위산분비억제
Hcl이 자극한다고 볼수 있다

㉯ 가스트린
- 구조 :17개의 아미노산~34개의 아미노산까지 몇개의 형태가 있음
- 분비장소 : 위 유문부의 G세포에서 생산
- 자극원 : G세포 분비면에 분포하는 내원성 뉴론에서 유리되는 아세틸콜린의 자극에 의해 분비, 분비를 촉진하는 인자로는 단백질의 소화산물과 위의 신전이 있으며 유문부의 산에 의해 분비가 억제 . (위내의 펩타이드 아미노산), 미주신경 자극, 위팽창
- 표적기관 : 위 분비선의 벽세포를 자극 위산을 분비시키고 위와 장점막의 성장을 촉진 (주세포와 벽세포 자극), 과다분비시 위궤양
위 운동을 촉진한다.위점막성장을 자극한다.인슐린 글루카곤및 세크레틴(secretin)의 분비를 자극한다.유문부(pylorus)와 회맹장(ileocecal) 부위의 괄약근을 이완시킨다.


㉰ 콜레시스토키닌
-구조 : 33개의 아미노산
- 분비장소 : 십이지장 점막을 덮고 있는 세포에 의해 분비
- 자극원 : 십이지장내의 지방및 아미노산에 반응
-표적기관과 기능 :췌장 효소 분비를 자극, 담낭을 수축 ,췌장에서 중탄산염(bicarbonate)의 분비 촉진==> 세크레틴(secretin)의 작용을 강화
.시상하부에 작용==> 포만감 형성==> 음식 섭취를 제한
콜레시스토키닌은 소장에 있는 위장관 내분비세포에서 긴사슬지방산과 아미노산에 반응하여 분비되며 담낭을 수축하여 담즙을 배출시키며 췌장 선세포를 자극하여 소화효소를 분비하고 세크레틴에 의한 NaHCO3분비를 강화하며 위배출시간을 지연시키고 췌장의 성장을 자극하는 효과를 지닌다.

㉱ GIP
- 구조 : 42개의 아미노산
- 분비장소 : 십이지장과 공장 상피세포중에 분포되어 있는 위장관 내분비세포에서 생산(십이지장을 덮고 있는 k세포)
- 자극원 : 소장내의 지방산이나 포도당에 의해 분비가 자극된다. (십이지장내 지방및 탄수화물 존재에 반응)
- 기능 : GIP는 췌장내의 인슐린을 분비하는 베타세포에 작용하여 포도당에 의한 인슐린분비를 더욱 촉진시키며 위의 운동과 산분비를 억제한다.
gastric inhibitory peptide로도 불린다.
-위산생성및 위운동 억제 -인술린 분비 자극(포도당 의존성)

<그외>
- somatostatin(소마토스타틴)(growth hormone-inhibiting hormone GHIH 성장 호르몬 억제호르몬)
구조 :14개와 28개의 아미노산의 두가지 형태, 펩타이드 호르몬
자극원 : 위안의 산도및 아미노산에 반응하여 분비, 혈당과 혈중 CCK농도의 증가에 반응하여 분비, 체장및 위의 세포및 장관과 뇌의 신경세포에 의해 분비
기능
-인슐린, 글루카곤, GIP, 가스트린, CCK,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VIP), 시크리틴 모틸린(mtilin)등의 분비를 억제
-위운동억제
-췌장효및 담즙분비억제

- pancreatic polypeptide(췌장폴리펩타이드)
구조 :3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
자극원 : 위장내의 단백질, 공복상태, 운동시 낮은 혈당자극에 반응
분비세포 :췌장의 PP세포에서 분비.
- 기능
-음식물 흡수 지연
-췌장의 소화효소 분비 조절

㉲ Motilin: Motilin은 십이지장과 공장의 점막에서 생산되며 내원성 신경에서 유리된 아세틸콜린에 의해 분비된다.
이는 소화기간이 아닌 공복시에 1.5-2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분비되어 위와 소장에서 이동성 위장관복합운동(migrating motor complex;MMC)을 유발시켜 강력한 연동파를 일으킨다.

<엔테로가스트론 분비 과정>


① 세크레틴 : 산에 반응, 췌장 중탄산 분비 촉진으로 중화작용, 가스트린 분비 억제
○ 1st. 위에서 내려온 산성 유미즙이 십이지장벽 자극 : 십이지장벽의 세포에서 혈액으로 세크레틴 분비
○ 2nd - 1st. 세크레틴이 혈액을 타고 돌다가 위벽을 자극 → 위액 분비 감소
○ 2nd - 2nd. 세크레틴이 이자를 자극 → 이자액(NaHCO3 함량 多) 분비 촉진 → 산성 유미즙 중화
○ 간질액으로부터 H+, Na+를 혈액으로 배출 → 혈액은 pH 감소
○ 위는 혈액의 pH를 높이므로 십이지장에서의 pH 감소를 상쇄
○ 3rd. 유문이 닫힘 →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더 이상 산성 유미즙이 유입되지 않음
② 콜레시스토키닌(CCK) : 지방에 반응, 췌장 분비 및 담즙분비 촉진으로 지방 소화
○ 1st. 위에서 내려온 지방산이 십이지장벽 자극
○ 2nd. 십이지장벽의 세포에서 혈액으로 CCK 분비
○ 3rd - 1st. CCK가 위벽을 자극 → 위액 분비 감소
○ 3rd - 2nd. CCK가 이자를 자극 → 이자액(소화 효소 함량 多) 분비 증가
○ 3rd - 3rd. 담낭 자극 → 담즙 분비 → 지방 유화
③ GIP, VIP, GLP-1 : 단당류와 지방이 만드는 소장 내 높은 삼투 농도에 반응, 위산 분비 억제
○ 1st. 위에서 내려온 유미즙이 십이지장벽 자극
○ 2nd. 십이지장벽의 세포에서 위억제펩티드(GIP) 분비
○ 3rd - 1st. GIP가 위벽을 자극 → 위액 분비 감소
○ 3rd - 2nd. GIP가 장샘을 자극 → 장액 분비 촉진
○ 3rd - 3rd. GIP가 이자를 자극 → 인슐린 분비 촉진

<인크레틴>


인크레틴은 식사 후 혈당치에 의존적으로 인슐린 분비를 강력하게 자극하는 장 호로몬이다.
인크레틴에는 크게 글루카콘양 펩티드-1 (GLP-1)과 glucose- dependent insulinotropic polypeptide (GIP)가 있는데, 췌장 β세포에서 발현되는 G단백결합수용체를 통해 인슐린 분비 작용이 일어난다.
GLP-1과 GIP수용체는 비췌도세포에서도 광범위하게 발현되고 간접적 대사작용을 수행하기 때문에 인크레틴 호르몬의 췌장외 작용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치료를 위해 인크레틴 수용체에 작용을 강화시키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가능하다.
첫째 로 GLP-1의 N 말단을 잘라 비활성화 시키는 dipeptidyl peptidase-4 (DPP-4) 효소를 억제시키는 방법은 경구로 약제를 투여할 수 있다.
둘째로는 사람 GLP-1과 상동성이 있는 또는 비포유류의 GLP-1 작용제를 주사로 투여하는 것이다.
GLP-1과 GIP의 인슐린분비 특성에
대해서 알려진지는 이미 25년이 넘었지만 인크레틴의 새로운 작용에 대해서는 현재 많은 연구들이 진행중 이다.

1.간
GLP-1 수용체 작용제들은 간에서의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고, 간의 지방량을 감소시킨다.
2. 뇌
GLP-1은 중추신경계 내에서 생산되고 말초에서는 L세포에서 생산된 뒤 혈액뇌장벽을 통과하고 구심성 미주신경을 통해 뇌와 소통한다


<위장관 운동 및 소화액 분비>
위장관 운동은 벽을 구성하는 평활근세포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평활근은 점막하근육층, 안쪽의 윤상근, 바깥쪽의 종주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막하층의 점막하 신경총과 종주근과 윤상근사이의 근층간 신경총에 의해 지배된다. 근층간 신경총은 주로 운동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점막하 신경총은 운동성과 분비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 위장관운동은 입에서 항문으로 음식물을 진행시키는 연동운동, 음식물과 소화액을 섞어주는 비추진 연동운동(non-propulsive peristalsis), 분절운동(segmentation movement) 및 시계추운동(pendular movement)으로 구성된 교반운동(mixing movement)으로 구성된다. 분절운동은 윤상근이 어느 정도 간격을 두고 동시에 수축을 하여 음식물과 소화액을 섞어주는 운동을 말하며 시계추운동은 종주근이 수축을 하여 장관의 길이를 단축시켜 점막을 미즙상에서 미끌어지게 하는 운동을 말한다. 이외에도 괄약근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지속적 긴장성 수축은 기능적으로 서로 다른 부위를 분리시키며 역류를 방지하는 효과를 지닌다.
소화액은 타액선, 위 및 장의 분비선, 간 및 췌장의 외분비선에서 합성되어 분비된다. 소화선은 부교감신경과 위장관호르몬의 영향을 받으며 양과 조성에 영향을 미친다. 하루에 위장관 소화선에서 분비되는 총량은 약 6-8 L로 이의 대부분은 소장에서 흡수된다.

반응형